플러터&Dart
yaml파일에 font적용 후 weight을 쓰는 이유?
슈퍼스타쥬
2024. 5. 17. 20:12
이건 사실 플러터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 프레임워크도 마찬가지로 보이는데
asset 후 weight를 주는 이유가 뭘까? 이해가 되지 않았다
fontWeight: FontWeight.w500을 하면 Sunflower-Medium.ttf가 적용이 되었다
그러면 내가 yaml파일에 weight을 Medium.ttf에 500을 줘서 적용이 된건가? 싶어
이렇게 weight을 주면 FontWeight.w700을 주면 Medium.ttf가 적용이 되야하는데 그러지 않는다. Bold.ttf가 적용이 된다
마찬가지로 Regular.ttf에 weight을 100을 줬어도 FontWeight.w100을 해도 NanumPenScript-Regular.ttf 폰트가 적용되지 않고 FontWeight.normal 또는 FontWeight.w400을 주면 적용이 되었다.
결론적으로 폰트파일자체에 굵기가 있으면 weight을 어떻게 주든 상관이 없고
아래 규칙에 따라 폰트파일이 Medium이면 500을 써놓고 개발자가 읽기 편해서 쓰는거 같다. (weight을 안써도 적용잘됨)
w100 | Thin, the least thick |
w200 | Extra-light |
w300 | Light |
w400 | Normal / regular / plain |
w500 | Medium |
w600 | Semi-bold |
w700 | Bold |
w800 | Extra-bold |
w900 | Black, the most thick |